Skip to content
단국대학교 남가주 동문회

건강지식

특히 아시아인이 담배를 끊어야 하는 또 하나의 이유


황반변성은 습성과 건성으로 구분되는데, 사물이 휘어 보이거나 시야 중심에 보이지 않는 부분이 발생해 실명할 가능성이 높은 질환이다. 오늘쪽 사진은 습성 황반변성 증세를 나타낸다


실명할 가능성이 큰 질환으로 알려진 습성 황반변성이 흡연과 큰 연관성이 있다는 조사가 최근 발표됐다. 특히 아시아인의 흡연과의 관계를 규명했다는 점에서 습성 황반변성의 관계를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안과 김성수ㆍ임형택 교수팀이 51만명의 국민건강보험 검진 코호트(특정집단) 빅데이터 연구를 통해 흡연과 습성 황반변성의 관계를 규명한 논문을 영국 안과학회지에 최근 발표했다.   

  

연구는 2002~2003년 사이 국가검진을 받은 40세 이상 51만명이 2013년까지 의료기관을 이용한 건강보험 청구내역 자료를 활용했다. 연구팀은 51만명을 대상으로 2009년 8월부터 2013년 12월 사이에 습성 황반변성 발생이 얼마나 일어났는지 분석했다. 다만 검진코호트 중 여성은 흡연여부를 밝히는 것에 제약이 있다는 점을 감안해 남성 집단만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연구팀은 나이ㆍ체질량ㆍ신체활력징후ㆍ동반질환 등 성향점수를 활용해 비슷한 수준을 보유한 흡연집단(최근까지 흡연을 시행하는 집단과 현재는 금연 중인 집단 포함)과 비흡연집단으로 구분했다. 두 집단에는 각각 6만4560명이 동일하게 배정됐다.   

  

조사기간 동안 습성 황반변성 환자는 비흡연 집단의 경우 154명, 흡연집단에서는 227명이 각각 발생했다. 위험비로 환산하면 흡연집단이 비흡연 집단 보다 약 50% 더 높은 발생확률을 보였다.


특히 아시아인이 금연을 해야할 의학적 원인이 나왔다.


또 연구팀은 흡연집단을 보다 세밀화해 습성 황반변성 발생 상관관계를 연구한 자료도 발표했다. 흡연집단은 과거 흡연을 했으나 현재는 금연 중인 집단(1만9688명)과 현재도 흡연을 유지하는 집단(4만4872명)으로 구분했다. 조사기간 동안 금연집단에서는 60명, 현재 흡연집단에서는 167명의 습성 황반변성 환자가 발생했다. 이를 비흡연 진단과 비교하면 금연집단은 21%, 흡연집단은 65% 더 높게 습성 황반변성 발생 확률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안과 김성수 교수는 “안과의사가 형광안저촬영을 기반으로 습성 황반변성을 진단하고 국민건강보험 공단에 청구한 자료를 활용한 연구 결과이기에 데이터 정확도가 매우 높다”며 “아시아인에서 흡연과 습성 황반변성 발생사이 관계를 명확히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깊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흡연을 유지하는 집단 보다 금연집단에서 발생 확률이 낮다는 점은 한쪽 눈에 습성 황반변성을 지닌 환자나 건성 황반변성 환자 등 고위험 집단에서도 금연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일반적으로 황반변성은 습성과 건성으로 구분된다. 이 질환은 사물이 휘어 보이거나 시야 중심에 보이지 않는 부분이 발생해 실명할 가능성이 높은 질환이다. 습성 황반변성은 실명과 연관성이 높지지만, 대부분의 황반변은 건성이다. 습성 황반변성은 국내 40세 이상 성인 1만 명당 연평균 3명 정도로 발생해 희귀질환에 속한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허리의 신' 서울대병원 정선근 교수의 '허리 이야기' 운영자 2023.10.28 13070
공지 혈액순환에 좋은 Best 음식들 운영자 2016.10.05 36726
공지 건강정보 운영자 2015.04.21 31342
공지 의과대학 교수들이 만든 의학 만화 운영자 2015.02.23 35245
공지 ‘100세 이상’ 보장하는 생활방식 11가지 운영자 2015.02.23 32978
공지 건강 * 유용한 많은 자료들 운영자 2015.02.23 33408
공지 건강한 생활상식 93가지 모음 운영자 2015.02.23 33693
74 10년 늙어 보이는 생활습관 "아침엔 물 세안만 하세요" 운영자 2018.03.11 7553
73 라면 1그릇 먹으면 나트륨 하루 섭취량 육박 운영자 2018.02.13 7571
72 식빵 한장에 나트륨 230㎎까지… 구입전 라벨 체크를 운영자 2018.02.13 7610
» 아시아인이 담배를 끊어야 하는 이유 운영자 2018.02.02 7404
70 아침, 점심, 퇴근길에… 틈나는대로 걸어라 운영자 2018.01.29 7441
69 영조의 다리 힘을 키운, 밤 운영자 2017.09.10 7493
68 지방섭취↑ 탄수화물↓…'장수'…7년간 18개국 13만5000명 조사 운영자 2017.09.03 7723
67 식물성 단백질 섭취 당뇨병 예방에 효과 있다 file 운영자 2017.05.24 48035
66 스트레스 받으면 먹지 않아도 살쪄 운영자 2017.05.24 8089
65 “비만질환 위험 낮추려면…체중보다 허리둘레 살펴야” 운영자 2017.05.24 8199
64 페트병에 오래 담아둔 물 마시면 ‘몸에 안 좋다’…발암물질 증가 운영자 2017.05.24 7858
63 음식 종류별, 위에서 소화되는 시간들 file 운영자 2017.05.12 12646
62 약 없이 혈당 낮추는 방법 3가지 운영자 2017.03.31 10674
61 나른해지는 봄… 식탁 가득 활력으로 채워요 운영자 2017.03.29 11182
60 남성 ‘정자 건강’ 위해 먹거나 피해야할 음식 (연구) 운영자 2017.03.26 9574
59 매일 녹차를 마시면 대장암 예방할 수 있다...국내 연구진 첫 확인 운영자 2017.03.20 12662
58 매일 차 한 잔, 치매 위험 50% 줄인다 운영자 2017.03.20 12465
57 과산화수소수 구강세척으로 사용 - KBS 비타민- PC버젼 file 운영자 2017.03.17 24433
56 미 인디애나대 연구팀이 주목한 치매 예방 물질 운영자 2017.03.07 10691
55 [건강이야기] 운동 전후 효과 높이는 식사법 운영자 2017.02.27 9165

Copyright © Dankook University Alumni Association of Southern California. All Rights Reserved.

.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